바로가기 메뉴
콘텐츠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정책과
연구

건축도시분야
정책 및 연구 관련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TOP

서울시, 50년 된 무허가 판자창고 지역명소 재탄생

2020. 09. 02|국토환경디자인부문|사업추진 및 지원|서울특별시|공공재생과

무허가 판자창고→복합문화공간 ‘중림창고’ 대한민국 공공건축상, 서울시 건축상서 ‘최우수상’
서울로7017~중림창고 노후 골목길 ‘성요셉 문화거리’로 재생해 걷고싶은 거리로
바닥포장, 야간조명설치, 조경식재, 노후상가 입면 개선… 향후 주민주도로 관리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 통해 탄생한 8개 앵커시설 조성 노하우 기록 책자 발간




서울시가 서울역 뒤 중림동 골목길, 성요셉아파트 맞은 편에 50년 넘게 자리했던 무허가 판자 건물과 창고를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해 작년 11월 문을 연 ‘중림창고’가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모이는 명소로 거듭나고 있다.


‘중림창고’를 중심으로 중림시장 등 일대를 다양한 동선, 공간으로 연결하며 살아있는 골목길로 재탄생시킨 점을 인정받아 최근 <2020 대한민국 공공건축상>(국토교통부 주최)과 <2020 서울시 건축상>에서 각각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중림창고’는 중림동 언덕길과 건물이 하나의 공간으로 이어지는 독특한 형태가 특징이다. 길이 55m, 폭 1.5m~6m, 고저차가 8m 이상이 되는 대지의 특성과 50년 간 지역주민의 기억과 함께한 ‘창고’의 장소적 특성을 최대한 살려냈다는 평을 받았다.

중림시장과 주변지역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으로 다양한 동선의 브릿지와 계단, 경사로를 프로그램 공간과 연결해 구성하며 살아있는 골목길로 재탄생시킨 점이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설계자인 공공건축가 강정은 대표는 “동네와 어울리는 건물이 되도록 고민을 많이 했고, 길의 독특한 지형과 조건에 맞춰 건물을 설계했다.”며

1층의 전면을 개방함과 동시에 거리와 접하는 모든 면에서 건물 내부로의 출입이 가능케 해 그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한눈에 알 수 있고 중림창고에 머무는 사람들이 언제라도 지나가는 이들을 불러 같이 어울릴 수 있는 장소가 되도록 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그 다음 단계로 서울로7017에서 중림창고 앞으로 이어지는 노후 골목길(약150m)을 재생하는 ‘성요셉 문화거리 조성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9월 중 착공해 10월 중 완료한다.

‘성요셉 문화거리 조성사업’은 서울로7017과 주변지역을 7개 길(중림1‧2길, 서계1‧2길, 후암1‧2길, 회현길)로 연결하는 「서울로 2단계 연결길 사업」의 하나로, 7개 연결길(중림1길) 가운데 가장 먼저 선보이는 구간이다.

걷기 불편했던 골목길엔 매끈한 포장도로가 깔리고, 골목길 곳곳에는 꽃과 나무를 심어 화사함을 더할 예정. 밤이면 어두웠던 골목길에는 야간조명시설이 설치돼 밤에도 안심하고 걸을 수 있다. 또, 동네에 오랫동안 자리했던 상가 외관(입면)도 개선한다.

초기 기획 단계부터 주민과 공공건축가, 서울시, 중구, 서울도시재생사회적협동조합이 머리를 맞대 협업하고, 중간지원조직인 골목스튜디오가 참여해 지역 특성에 맞는 설계안을 완성했다.

서울시는 서울로7017과 연결되는 낡은 골목길을 걷고 싶은 거리로 재생해 서울로7017을 통해 중림동으로 넘어오는 시민과 관광객의 발길을 사로잡고, 서울역 뒷골목 중림동 일대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목표다.

아울러, ‘성요셉 문화거리 조성사업’을 통해 완성된 골목길은 지역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관리‧운영해나가게 된다. 상권활성화와 지역 내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다양한 마을 정책을 주민이 주체가 돼 주민이 원하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내용이다.

서울시와 중구는 조성사업이 완료되는 10월 중 지역 주민들과 이런 내용으로 ‘민관협력 상생협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시와 중구, 주민자치모임은 구체적인 협약내용을 정하기 위해 수차례 검토회의를 개최하고 있으며, 9월 중으로 세부내용을 정리할 계획이다.

‘중림창고’는 서울도시재생사회적협동조합이 서울시로부터 위탁 받아 운영 중이다. 지하 1층은 지역주민들이 함께 이용하는 주민공동이용시설로, 지상층은 콘텐츠 기업인 ‘어반스페이스오디세이(USO)’가 입주해 수익형 복합문화공간으로 운영돼 재생을 넘어 자생을 이끌고 있다.

수익형 복합문화공간에서는 책, 영화, 디자인 등 문화 전반의 다양한 인사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심야 살롱 라운지' 같은 프로그램이 열리고, 서점 같은 판매시설도 운영된다. 개관 이후 지난 8개월 간 전시 및 토크쇼 등 25개 프로그램이 열렸고, 총 3,000여명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도시재생사회적협동조합은 지역주민을 주축으로 구성된 도시재생기업으로,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작년 4월 설립됐다. 현재 중림창고를 포함해 8개 거점시설을 위탁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지원센터 역할도 맡고 있다. 

한편, 서울시는 ‘중림창고’를 비롯해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탄생한 8개 앵커시설의 구축과정을 기록한 <앵커 - 서울역일대 도시재생공간 8>을 발간했다.

책에는 부지 매입부터 기획, 설계, 시공, 운영까지 앵커시설 조성과 관련한 숨은 이야기를 꼼꼼히 담아냈다. 앵커시설 조성에 참여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라운드테이블을 통해 추진과정에서 겪었던 자신의 생생한 경험을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구성하고, 각 시설별 설계내용과 사진을 충분히 실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시는 거점시설 조성 노하우를 자세히 소개해 타 지자체 등 도시재생 참여 주체들이 사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책자를 발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류 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중림창고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낙후된 지역의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과 수익창출을 통해 자력재생을 이끌어가는 중림동 도시재생의 원동력이다”라며

“성요셉아파트 구간 노후한 골목길 재생사업이 완료되면 중림창고와 골목길 일대 상권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주민들이 중심이 돼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