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제3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1 ~ 2030 |
| 관리부처 |
해양수산부해양정책과(관계부처 합동) |
| 근거법령 |
해양수산발전기본법 |
| 개요 |
제3차 계획은 '2030 해양한국, 전환의 시대, 생명의 바다 풍요로운 미래'를 비전으로 6대 추진전략, 18대 정책목표, 50대 정책과제, 146개 세부과제를 제시하였다. |
|
|
0
해양개발기본계획- 해양한국(OCEAN KOREA) 21 -

| 수립기간 |
2001 ~ 2010 |
| 관리부처 |
해양수산부해양정책과(관계부처 합동) |
| 근거법령 |
해양수산발전기본법 |
| 개요 |
해양개발기본계획은 자원의 보고인 해양을 합리적으로 개발·이용·보전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청색혁명을 통한 해양부국 실현'을 비전으로 삼고, '생명력 넘치는 해양국토 강조', '지속가능한 해양자원 개발', '지식기반을 갖춘 해양산업 창출'등 3대 목표와 7대 추진전략, 21개 정책과제 , 100개 추진과제로 구성하였다 |
|
|
1
제2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11 ~ 2020 |
| 관리부처 |
해양수산부해양정책과(관계부처 합동) |
| 근거법령 |
해양수산발전기본법 |
| 개요 |
제2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은 기후변화·자원 문제의 대두, 과학기술력 확보를 통한 신산업 육성, '삶의 질' 추구에 따른 생활 패턴의 변화, 동아시아의 경제성장에 따른 물류산업의 변화등을 반영하여 새로운 정책 방향에 부응하기 위해 '세계를 주도하는 선진 해양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정하고, '지속가능한 해양환경의 관리 및 보전', '신해양산업의 육성 및 전통적 해양산업의 고도화', ' 신해양질서의 능동적 수용을 통한 해양영역 확대'등 3대 목표와 5대 추진전략 및 26개 중점과제를 제시하였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