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제1차 건축정책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10 ~ 2014 |
| 관리부처 |
국토교통부건축문화경관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제1차 건축정책기본계획은 건축문화 진흥으로 국민의 건전한 삶의 영위와 복리향상에 기여하고, 건축의 품격 및 품질향상, 도시경관 향상 등의 목표를 수행하고자 '아름다운 국토, 쾌적한 삶터'를 계획의 비전으로 삼고 '품격있는 생활공간 조성', '건축·도시분야 녹색성장 기반구축', '창조적 건축문화 실현'을 3대 목표, 6대 전략, 19개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
|
|
0
제2차 건축정책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16 ~ 2020 |
| 관리부처 |
국토교통부 건축정책관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제2차 건축정책기본계획은 최근 정책이슈를 반영하여 140개 국정과제에 부합하는 정책을 개발하고자 '안전과 행복, 창조와 문화를 이끄는 건축'을 비전으로 정하고 '행복한 건축 실현', '창조적 건축산업 창출', '건축문화 및 통일대비'등 3대목표와 9대 추진전략별 26개 실천과제를 도출하였다 |
|
|
0
제3차 건축정책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1 ~ 2025 |
| 관리부처 |
국토교통부 건축정책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제3차 건축정책기본계획은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건축정책을 수립ㆍ시행함으로써 건축물과 공간 환경의 질을 높이고 국가의 품격 제고에 기여를 목표로 "일상의 가치를 높이는 건축, 삶이 행복한 도시'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건축의 공공적 가치 구현을 위한 국민 생활공간 향상,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도시 조성, 국가 경쟁력 확보라는 3대 목표를 설정하였다. |
|
|
11
제3차 서울 건축기본계획 보고서

| 수립기간 |
2023 ~ 2027 |
| 관리부처 |
서울도시건축센타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제3차 서울 건축기본계획은 대·내외적 여건 변화와 서울의 특성을 고려하여 미래 서울에 요구되는 건축정책을 제시하고, 제1,2차 서울 건축기본계획의 성과 및 한계를 분석하여 건축정책의 보완과 진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품격을 높이는 도시건축,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도시 서울을 비전으로 ‘미래 서울을 준비하는 새로운 도시건축’, ‘시민 행복을 지원하는 도시건축’, ‘모두가 만드는 열린 건축문화’로 3대 목표를 설정하였다. |
| |
|
26
제3차 부산광역시 건축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2 ~ 2028 |
| 관리부처 |
부산광역시 건축정책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부산 건축기본계획은 “건축으로 행복한 부산, 시민이 여는 미래”를 비전으로 제시하고, ‘즐거운 도시, 따뜻한 도시, 똑똑한 건축’이라는 세 개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목표 아래 세 개씩의 가치를 설정하여, 총 9개의 가치를 중심으로 전략과 세부과제를 도출하였다. |
| | |
|
27
제2차 대구광역시 건축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1 ~ 2026 |
| 관리부처 |
대구광역시 건축주택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제2차 건축기본계획의 비전은 '대구 미래번영의 토대, 자유와 활력의 건축'으로 설정하고, '건축혁신 도전', '미래건축 선도', '활력문화 확산'을 계획의 목표로 하였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9개 전략과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한 내용을 과제형태로 제안하였다. |
| |
|
28
2026 인천광역시 건축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1 ~ 2026 |
| 관리부처 |
인천광역시 건축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인천광역시 건축정책의 비전은 '도시 균형을 되찾는 인천건축'으로 설정하고, '생활공간 단위 공공건축 혁신과 건축경관 관리로 지역 활력 창출', '건축성능 향상을 통해 미래로 연결되는 지속 가능한 인천',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건축문화, 소통과 기회가 보장되는 건축산업'으로 3가지 정책목표를 선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10개 추진전략과 20개 실천과제(안)으로 구성되어있다. |
| |
|
30
광주광역시 제2차 건축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18 ~ 2025 |
| 관리부처 |
광주광역시 도시경관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광주광역시 제2차 건축기본계획은 사람중심의 건축, 공생하는 도시, 미래 건축문화수도 광주 1대 비젼과 안전하고 복원력 을 지닌 건축환경, 품격있고 경쟁력을 갖춘 건축산업, 매력있고 고유함을 가진 건축문화 등 3대 목표와 9개의 기본 방향을 수립하였고 9개의 기본방향별 각각 3개씩 세부과제를 선정하여 추진방안을 마련하였다. |
| |
|
30
제2차 대전광역시 건축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1 ~ 2025 |
| 관리부처 |
대전광역시 주택정책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제2차 대전광역시 건축기본계획은 '지속가능한 스마트 대전 건축'이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비전 실현을 위한 기본목표와 3대 전략계획(대전건축 스마트화, 탄소중립 도시·건축, 건축산업 및 문화 진흥)을 수립하고, 전략별 6개 세부전략을 도출하였다. |
| |
|
31
울산광역시 제2차 건축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0 ~ 2025 |
| 관리부처 |
울산광역시 건축주택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울산광역시 제2차 건축기본계획 비전은 '공동체 시민문화가 이끌어가는 행복한 건축문화도시, 울산'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를 울산광역시의 건축도시적 관점에서 '시민 생활문화를 담는 건축도시공간', '다잉함을수용하고시만들이 공감하는건축문화', '환경변화에안전하고자속가능한건축도시'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
| |
|
36
제2차 세종특별자치시 건축관련 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2 ~ 2027 |
| 관리부처 |
세종특별자치시 건축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
| 개요 |
제2차 세종특별자치시 건축관련 기본계획의 비전은 '포용과 도전으로 시민이 함께 성장하는 세종건축'으로 설정하고, 3대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6개 추진전략, 12개 실천과제, 30개 세부단위과제를 도출하였다. |
| |
|
41
경기도 제3차 광역건축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1 ~ 2027 |
| 관리부처 |
경기도 건축디자인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경기도 제3차 광역건축기본계획의 비전은 '스마트녹색 건축 빛나는 경기'로 설정하고, '건축정책을 통한 도민 생활공간 향사', '건축성는 향상 및 안전한 건축도시공간 구현', '경기도 건축문화 저변확대 및 정체성 확립'을 3대 목표로 하여 9개 추진전략과 18개 실천과제 35개 실행과제를 도출하였다. |
| | |
|
42
제2차 강원도 광역건축 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1 ~ 2025 |
| 관리부처 |
강원특별자치도 건축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제2차 강원도 광역건축기본계획은 '좋은 건축, 건강한 도시, 행복한 삶터 강원도!'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3개 목표, 9개 전략으로 구성하였으며, 하위과제로 실천 과제 18개, 단위과제 36개, 세부과제 109개로 체계 구성하였다. |
| |
|
43
제2차 충청북도 건축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1 ~ 2025 |
| 관리부처 |
문화체육관광국 건축문화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충청북도 건축기본계획은 건축의 생활 공간적·사회문화적 공공성 확보, 건축물 및 공간 환경 개선과 건축문화 진흥을 위하여 '포용·혁신·통합의 충북 건축문화공간 조성'을 비전으로 정하고, '안전과 행복의 포용적 공간창출', '미래지향적 기술중심의 건축 실현', '도시·건축의 통합적 공간관리'의 3대 정책목표와 9대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
| |
|
44
충청남도 건축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15 ~ 2019 |
| 관리부처 |
건설교통국 건축도시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충청남도 건축기본계획은 '건축물 및 공간 환경에 대한 수요와 여건 변화', '삶의 질 향상에 따른 건축의 사회적 책임 고양', '건축기본법의 제정과 국가 건축정책기본계획의 수립'등의 목적에 부합하고자 “충남다움, 어울림의 건축문화 창조”를 비전으로 삼고, '사람이 중심이 되는 행복한 정주환경 조성', '일상이 풍요로운 건축문화 실현', '녹색건축물 확대를 통한 친환경도시 구현'등 3대 목표와 5가지 전략, 13개지 전략별 실천과제를 제시하였다 |
|
|
45
제3차 전북특별자치도 건축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5 ~ 2029 |
| 관리부처 |
주택건축과 건축정책팀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제3차 전북특별자치도 건축기본계획은 '행복한 일상을 함께 만들어 더 특별한 전북건축'을 비전으로 ‘기본이 탄탄한 건축’, ‘혁신적인 건축’, ‘행복한 일상의 건축’을 3대 목표로 설정하였다. |
| | |
|
46
전라남도 제2차 건축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3 ~ 2027 |
| 관리부처 |
건축개발과(건축관리팀)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전라남도 전라남도 제2차 건축기본계획은 '건축의 공공적 가치 구현 및 지역경쟁력을 선도하는 남도건축'을 비전으로 '주민을 위한 지역 맞춤형 공공건축 확대와 생활환경 개선', '지역자산이 이끄는 남도건축문화 정체성 확보', '건강한 건축산업 육성으로 지속가능한 미래건축 창출'을 세부 목표로 설정하였다. |
| |
|
47
제3차 경상북도 건축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24 ~ 2028 |
| 관리부처 |
경상북도 건설도시국 건축디자인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경상북도 건축기본계획은 '지방시대를 주도하는 경북 건축 문화'를 비전으로 '건축도시디자인 공공성 증대', '스마트 녹색건축 생태계 구축', '천년건축문화 가치증진'을 정책목표로 설정하였다. |
| | |
|
48
제2차 경상남도 광역건축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13 ~ 2017 |
| 관리부처 |
친환경주택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제2차 경상남도 광역건축기본계획은 ‘함께 만드는 완전히 새로운 경남’을 비전으로 3대 원칙이 운영의 기본 원리가 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3대 목표, 12개 전략 46개 추진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중점과제 6개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관리하고자 하였다. |
| |
|
50
제3차 제주특별자치도 건축기본계획(2019~2023)

| 수립기간 |
2024 ~ 2028 |
| 관리부처 |
건축경관과 |
| 근거법령 |
건축기본법 |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건축기본계획은 '도민과 함께하는 건축, 삶이 행복한 제주'를 비전으로 '제주다움을 추구하는 건축', ' 미래환경에 대응하는 건축', '삶의 질을 높이는 건축 행정 및 도민과 함께하는 건축 문화'를 정책 목표로 설정하였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