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08 ~ 2012 |
| 관리부처 |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과(폐지) |
| 근거법령 |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
| 개요 |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은 일반국민들이 저탄소사회 생활양식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고, 산업계도 기후변화대응을 녹색성장의 기회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범국민적 인식전환을 도모하기위해 '범지구적 기후변화대응 노력에 동참하고 녹색성장을 통한 저탄소사회 구현'을 비전으로 삼고· '기후진화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국민의 삶의 질 제고와 환경 개선', '기후변화 대처를 위한 국제사회 노력을 선도'등 3대 목표와 5대 추진전략, 목표별 11가지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
|
|
0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19 ~ 2040 |
| 관리부처 |
환경부 기후전략과 |
| 근거법령 |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 |
| 개요 |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은 신 기후체제 출범에 따른 기후변화 전반에 대한 대응체계 강화 및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이행점검·평가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조기에 수립되었다. 본 계획은 기후변화 현황 및 전망 분석과 지난 기후변화대응 대책 평가를 통해 기본방향을 정하였다. 계획의 비전은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성장 구현’으로 정하고 3개의 목표와 3개의 핵심전략과 10개의 중점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
| |
|
11
서울특별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2022-2026)

| 수립기간 |
2022 ~ 2026 |
| 관리부처 |
환경정책과 |
| 근거법령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
| 개요 |
서울특별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은 '기후위기로부터 안전한 도시 조성'을 비전으로 '2026년까지 온실가스 30% 감축', '기후위기 안전 도시 기반 구축'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
| |
|
26
제3차 부산광역시 기후변화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 수립기간 |
2022 ~ 2026 |
| 관리부처 |
기후대기과 |
| 근거법령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
| 개요 |
부산광역시 기후변화적응대책 세부시행 5개년 계획은 부산지역의 부문별ㆍ지역별 기후변화의 영향과 취약성 평가를 통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완화시키고, 건강ㆍ자연재해 등에 대응하는 적응대책을 수립ㆍ시행을 위해 수립하였다. |
| |
|
27
대구광역시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및 연차별 시행계획

| 수립기간 |
2009 ~ 2020 |
| 관리부처 |
녹색환경국 환경정책과 |
| 근거법령 |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
| 개요 |
대구광역시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및 연차별 시행계획은 중앙정부의 「녹색성장 5개년 계획」 및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에 따라 '대구광역시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및 연차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자 '기후변화대응을 선도하는 녹색미래 도시, 대구'로 비전을 정하고,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온실가스 5% 감축',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11% 달성', '2020년까지 대중교통 수송분담률 52% 달성', ' 2020년까지 숲가꾸기 22,000ha 추진'등 4대 목표와 5대 부문 16대 핵심정책, 79개 세부사업을 수립하였다 |
|
|
28
제3차 인천광역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

| 수립기간 |
2021 ~ 2040 |
| 관리부처 |
환경기후정책과 |
| 근거법령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
| 개요 |
인천광역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은 '기후위기를 시민과 함께 안전하게 극복하는 탄소중립도시 인천'을 비전으로 '선도적인 탄소중립 토시기반 형성', '1.5도 기후안전 및 녹색복지 구현', '시민참여형 추진기반 구축'을 목표로 수립하였다. |
| |
|
29
광주광역시 제3차 기후변화대응종합계획

| 수립기간 |
2021 ~ 2025 |
| 관리부처 |
환경생태국 기후변화대응과 |
| 근거법령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
| 개요 |
제3차 광주광역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은 '기후 위험 감소를 통한 회복력 있는 도시 조성'을 목표로 삼고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적극적 관리', 재난재해에 대처하는 회복력 있는 도시 조성', '폭염에 강한 시민건강도시 광주 조성'. '적응 대책에 대한 실효적인 이행'을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
| |
|
30
제3차 대전광역시 기후변화적응대책 세부시행 5개년 계획

| 수립기간 |
2022 ~ 2026 |
| 관리부처 |
대전광역시 기후환경정책과 |
| 근거법령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
| 개요 |
대전광역시 기후변화적응대책 세부시행 5개년 계획은 '건강하고 안전한 기후 안심도시, 대전'을 비전으로 '기후변화 적응 역량 강화로 기후복지 실현, 체계적인 재해예방으로 기후탄력성 제고'를 목표로 수립하였다. |
|
|
44
공주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

| 수립기간 |
2021 ~ 2030 |
| 관리부처 |
환경보호과 |
| 근거법령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
| 개요 |
공주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은 '과감하고 공정한 탄소중립도시로의 전환'을 비전으로 '탄소중립 실현', '탄소중립 사회', '탄소중립 기반'을 3대 추진전략으로 설정하였다. |
|
|
44
제2차 충청남도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

| 수립기간 |
2020 ~ 2030 |
| 관리부처 |
기후환경국 기후환경정책과 |
| 근거법령 |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
| 개요 |
제2차 충청남도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은 국내외적으로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동참하고 지속 가능한 도정 운영 및 지역발전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발판으로 삼기위해 수립되었다. 본 계획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이바지하기 위해 도 여건에 기반하여 실현가능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분석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시행계획을 제시하였다. 계획의 비전은 ‘1.5℃로 더 맑은 충남’으로 정하고 ‘충남도의 현재와 미래 먹거리를 만드는 발전·산업, 농업, 에너지신산업의 세 축과 도민이 함께, 천혜의 자연 여건을 활용한 기후변화대응 체계 마련’을 목표로 제시하였다. |
|
|
44
태안군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

| 수립기간 |
2005 ~ 2020 |
| 관리부처 |
태안군 환경산림과 |
| 근거법령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
| 개요 |
태안군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은 '지속가능한 환경의 중심, 태안'을 비전으로 '저탄소형 인프라 및 문화형성', '자원순환형 도시환경 구축', '청정 저탄소 휴양도시 조성'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
|
|
45
전라북도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 수립기간 |
2015 ~ 2030 |
| 관리부처 |
환경녹지국 자연생태과 |
| 근거법령 |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
| 개요 |
전라북도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은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체계 개편으로 환경부장관에게 이관된 지자체 지원·협력 업무에 따른 국고 보조금을 활용하여 2030년 국가 감축목표 로드맵에 부합되는 전라북도의 2030년 기후변화대응 계획을 세우기 위해 수립되었다. 본 계획은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연계한 지자체의 감축 관리 및 이행평가 방안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지자체 온실가스 가틀 마련 및 온실가스 감축목표달성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계획의 비전은 ‘기후변화 완화 선도를 통한 전라북도 지속가능발전 견인’으로 정하고 3개의 기본방향과 세부이행계획을 제시하였다. |
|
|
45
전주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

| 수립기간 |
2015 ~ 2030 |
| 관리부처 |
전주시 환경과 |
| 근거법령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
| 개요 |
전주시 지역특성에 맞는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을 마련하고 온실가스 감축 및 적응에 대한 추진전략을 수립, 실천함으로써 정부정책 목표를 달성하고 저탄소 녹색 사회 구현 및 기후변화대응 선도 도시로서의 이미지를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자 전주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
|
|
46
제3차 전라남도 기후변화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 수립기간 |
2022 ~ 2026 |
| 관리부처 |
기후생태과 |
| 근거법령 |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
| 개요 |
- 제2차 전라남도 기후변화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17∼’21)의 종합평가 - 전라남도 지역현황 및 특성, 기후변화 현황 및 전망 - 국내외 기후변화 정책 동향(협약 등) - 국가 기후변화 리스크 목록 검토 - 전라남도 영향평가(문헌 및 통계분석, 도민 설문조사, 모형을 활용한 영향평가) - 전라남도 취약성 평가, 리스크 목록 선정 - 제3차 기후변화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의 추진여건 분석, 비전 및 추진전략 - 국가 계획, 상위 및 관련계획과 연계한 분야별 과제 및 추진계획 수립 - 세부시행사업 추진에 따른 소요재원 및 재정투자계획 - 그 밖에 기후변화에 관한 사항 |
|
|
48
경상남도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경남형 2050 탄소중립 로드맵)

| 수립기간 |
2021 ~ 2026 |
| 관리부처 |
환경산림국 기후대기과 |
| 근거법령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
| 개요 |
경상남도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은 '모든 도민이 행복한 기후 중립 사회'를 비전으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이상 감축,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
| | |
|
48
진주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

| 수립기간 |
2015 ~ 2030 |
| 관리부처 |
진주시 환경교통국 환경보호과 |
| 근거법령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
| 개요 |
진주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은 '저탄소 사회 실현을 통한 명품 복지 도시 진주'를 비전으로 '친환경 명품도시', '건강한 복지도시', '안전한 자원순환도시'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
|
|
50
제3차 제주특별자치도 기후변화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 수립기간 |
2022 ~ 2026 |
| 관리부처 |
환경정책과 |
| 근거법령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기후변화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은 '미래 선도 3S(Safe, Smart, Sustainable) 제주'를 비전으로 '생명수 관리를 위한 과학적 체계 강화', '생태계 다양성 및 건강성 확보 기반 조성', '국토·연안 기후적응체계 기반 강화 및 대응력 제고', '지속가능한 농축수산 발전체계 구축', '도민 건강 대응 체계 구축 및 역량 강화', '에너지 사고대비 회복력 강화'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