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콘텐츠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정책과
연구

건축도시분야
정책 및 연구 관련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TOP

광주시, '2030년 광주 도시기본계획'에 이어 '광주 지구단위계획 기준 제정' 추진

2017. 04. 13|녹색건축도시부문|계획수립|광주광역시|도시계획과

광주광역시는 광주시의 도시 미래를 그린 ‘2030년 광주도시기본계획’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친환경 도시를 실현할 수 있도록 ‘광주 지구단위계획 기준 제정’ 및 ‘친환경 도시계획 포럼’, ‘지구단위계획 세미나’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광주시는 지난 2월15일 공고한 ‘2030년 광주 도시기본계획’을 통해 녹지지역, 농업지역, 개발제한구역 등 녹지를 보전․관리하고 영산강, 황룡강, 광주천 수변지역을 연계하는 ‘녹지수변축’을 설정하는 도시공간 구조를 마련하면서 친환경 도시계획의 큰 그림을 그렸다.


또 도시기본계획에서 일상생활 공간에서 10분 이내 거리에 녹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그린 네크워크(Green Network)’ 조성, 신재생에너지, 건축물 옥상공간 녹화, 녹색교통 등 기본적인 전략도 제시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난 2월부터 광주시와 광주전남연구원은 ‘도시열섬 저감 관련 도시계획 제도도입 방안’ 등 3건의 친환경 도시계획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 중이다.

※ 3건의 정책 연구과제
- 도시열섬 저감 관련 도시계획제도 도입 방안 연구(신동훈 박사)
- 기성시가지 저층주거지 관리을 위한 도시계획적 관리방안 연구(나강열 박사)
- 광주시 지구단위계획 수립방향(박준필 박사)



또한 오는 5월 ‘2025년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용역’을 착수하고, 6월에 광주시와 국토․도시계획학회 공동으로 ‘친환경 광주도시계획포럼’ 개최, 7월에는 ‘지구단위계획 세미나’를 통해 친환경 분야에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발표와 시민공개 토론장을 준비 중이다.

이러한 과정 및 일정을 감안할 때 올 말에는 지구단위계획 기준이 제정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는 친환경 자동차 도시, 에너지 신산업벨트 등 친환경산업을 육성하는 시의 도시 이미지에 걸맞도록 시민공감대 형성을 통해 친환경 도시계획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도시경쟁력 및 일자리 확보 차원에서도 의미있는 정책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장재만 시 도시계획과장은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광주의 실정에 도입 가능한 항목을 도출하고 있다”면서 건축물의 계획 배치를 통해 강 바람을 도시로 유입시키거나, 개발사업을 추진할 때 공원 간 맥락을 고려한 지구통합형 녹지계획 기준을 마련하고, 도로․주차장의 그린인프라 기법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고 말했다.

그린 인프라(Green Infrastructure) : 단지 내에 투수성 포장 등의 물순환을 돕는 기술. 더위완화, 홍수 위험저감, 자연배수, 대기질 향상, 서식지 제공, 녹지공간의 제공을 통해 육체적․심리적 건강과 장소의 질을 제고하는 효과



이어 “친환경도시의 제도적 기반이 되는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 등이 올해 안에 마련되면 장기적 관점에서 광주시가 친환경 모범도시가 되도록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차근차근 준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