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콘텐츠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정책과
연구

건축도시분야
정책 및 연구 관련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TOP

전남도, 경북·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건설산업 창조경제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16. 09. 06|녹색건축도시부문|사업추진 및 지원|전라남도|지역경제과
전라남도와 경상북도,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이하 건설연)이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건설 분야 중소기업들의 돌파구 마련을 위해 손을 잡았다.

이낙연 전라남도지사와 김관용 경상북도지사, 이태식 건설연 원장은 6일 국회에서 각계 인사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건설산업 창조경제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신상진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장을 비롯 이개호, 정인화, 박명재, 백승주, 이철우 전남 경북 국회의원 등도 참석했다.

주요 협력 분야는 건설연 기술과 인력지원을 통한 지자체 정책 지원, 중소기업 기술 고도화, 건설정책 개발 및 교육세미나정보교류회 등을 통한 교류, 각종 재난재해에 대한 지역 차원의 대응 방안 모색 및 해결 등이다. 앞으로 3개 기관 간 협의를 통해 협업 아젠다를 보다 구체화할 방침이다. 건설연은 두 지자체의 부설연구소처럼 건설 분야 정책 지원에도 나서며, 중소기업의 창업과 성장, R&D 등을 지원하는 지역 건설 분야 창조경제혁신센터로서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세 기관은 이미 지난 5월부터 각각 태스크포스(T/F) 협의체를 구성해 협력과제 발굴에 착수, 8월 말 현재 46건을 발굴했다. 앞으로 각 기관 간 T/F와 사업별 프로젝트매니저(PM) 등과 토론, 협의를 거쳐 실현 가능성이 높고 파급 효과가 있는 사업을 우선 선정해 단계적으로 협력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협력과제는 ‘중소기업 지원’, ‘건설분야 정책지원’, ‘연구개발 협력’ 등 세 분야다. 전남의 제안 과제는 친환경 철강 건축재 연구개발, ICT 융합 연륙교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을 기반으로 한 녹색 건축물 조성사업, 농촌지역 도로에 적합한 비점오염처리시설 개발, 적정 공기 산정기준 표준안 마련 등으로 지역 현안 해결에 탄력이 기대된다.

건설연(KICT) 제안 과제는 차세대 초고속 이동체계(하이퍼루프) 기반기술 개발, 스마트그리드 기반 전기차 자동차 인프라 기술 개발, 제로에너지 주거를 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열(BIPV-T) 융합에너지 시스템 개발 등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ICT 융복합, 친환경 기술, 신산업 관련 과제들이다.

협약에 따라 건설연이 보유한 전문 인력, 특허, SW, 연구장비 등의 데이터베이스(DB)를 전남과학기술정보시스템(JNTIS)에 등재해 지역 중소기업이 온라인으로 상시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구축된다. 또한 중소기업과 네트워크를 구축, 중기 애로기술 해결 및 기술 사업화 등 다각적 지원에 나선다.

개별 협력과제에 대해서는 건설연과 전라남도 소관 부서 간 온라인투오프라인(O2O) 채널 구축 및 개별 프로젝트별 T/F팀을 구성, 협업을 통해 구체화한다. 우수 협력과제는 도와 건설연이 함께 국책사업으로 반영해나가고, 지역 미래 전략산업 발굴 및 건설정책 개발에도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협약은 영호남 상생협력사업의 하나라는 의미도 있다. 그동안 전라남도는 경상북도와 ‘백신 글로벌 산업화 기반구축사업’ 등 국책사업 공동 추진, 공무원 인사교류 등을 추진해왔다. 이번 협약은 전라남도가 먼저 건설연으로부터 제안을 받고 경상북도와 공동 추진을 제안한 것이다.

이낙연 도지사는 “협약을 통해 건설분야 전문 인력과 노하우를 보유한 건설연과 영호남 상생발전을 이끌고 있는 전남도경북도가 건설산업 발전을 위해 뜻을 모았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동안 대한민국 경제를 이끌어온 건설업은 이제 벽에 부딪혀 양적 팽창이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며 “특히 지방 건설산업이 연구개발역량, 기술력, 자금, 인력이 취약한 상황에서 건설연이 우수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지방의 건설정책과 중소기업 기술력 향상까지 활동영역을 넓혀준데 대해 큰 기대가 된다”고 덧붙였다.

이날 건설연이 ‘온라인 지자체 부설 연구소’와 ‘건설분야의 창조경제혁신센터’ 역할을 자처해주기로 함에 따라, 전남의 경우 기존 여수 소재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를 포함해 4개의 창조경제 추진 허브를 보유한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