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콘텐츠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정책과
연구

건축도시분야
정책 및 연구 관련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TOP

대한민국 수소경제시대, 제주가 이끈다

2022. 09. 29|녹색건축도시부문|계획수립|제주특별자치도|저탄소정책과

대한민국 수소경제시대, 제주가 이끈다

 

- 제주도, 29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 계획」 수립․발표 -

- 2030년까지 버스 300대, 청소차 200대, 트램, 선박 등 수소 모빌리티 도입 -

- 화력발전소의 수소발전소 전환, 수소 수출 통한 글로벌 허브 구축 -

 

 제주특별자치도가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을 기반으로 수소경제로의 전환에 앞장선다.

 

❍ 심화되는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경제 활성화를 위해 세계 각국이 수소 생태계 조성에 전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수소는 새로운 청정에너지원으로 주목과 기대를 받고 있다.

 

❍ 수소경제로의 전환은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고, 혁신기술을 통해 에너지 공급과 수요 전체 영역에서 수소를 주요 에너지 유통수단으로 사용하게 된다.

 

❍ 이를 통해 에너지 자립을 강화하고, 친환경에너지로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며, 전후방 산업에 파급효과가 큰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에 인프라와 경험, 역량을 갖춘 제주도는 그린수소 산업의 최적지로 평가받고 있으며, 그린수소 생산․실증 주요 국책과제가 제주에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 제주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은 21년 기준 18.3%로 전국 1위이며, 전국 최초로 MW급 그린수소 생산․저장 실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 기반 그린수소 선도지역으로 대한민국 수소경제를 견인하고자 그린수소 생산과 보급․활용․산업화 밸류 체인을 갖추기 위한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을 29일 발표했다.

 

❍ 제주도는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그린수소 초기 생태계를 구축하고, 2030년까지 거점별 생산지와 충전소를 마련하며, 2050년에는 대한민국 그린수소 거점도시로 자리 잡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계획」 주요 내용 】

 

? 그린수소 생산

❍ 그린수소 생산 초기 인프라를 확보하기 위해 거점별 수전해 생산단지를 건설한다. 국책과제로 진행하는 재생에너지 기반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단지로 23년 초까지 3M급, 2026년 초까지 12.5MW급 생산설비를 우선 구축한다.

 

❍ 구축한 생산설비를 지역 핵심 인프라로 활용하면서, 2030년까지 거점별 생산단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 이를 통해 수소 모빌리티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적정 생산설비를 갖춘다.

 

? 그린수소 보급

❍ 수소의 안정적·경제적 보급 체계 구축을 위해 국내 1호 그린수소 충전소(함덕)를 시작으로 공공 주도로 초기 인프라를 마련할 계획이다.

 

❍ 초기에는 시내․시외버스, 청소차 운용을 고려한 충전소를 설치하고, 이후 수소 모빌리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동선을 고려해 2030년까지 거점별 충전소를 구축한다.

 

❍ 경제성과 안전성, 주민수용성을 확보하면서 민간 충전소의 참여 여건을 조성하고 도민 주도를 통해 내연차 분야의 정의로운 전환도 함께 추진한다.

 

? 그린수소 활용

❍ 수소차가 산업·생활 전반으로 확대되도록 공공영역에서부터 버스 및 청소차, 관용차를 도입하고 점진적으로 민간 분야(승용, 상용) 보급을 병행 확대한다.

- 1차산업 분야에서 수소 농기계·선박을 도입하고 수소트램, 수소항만 구축 등 인프라 확대로 산업화의 기반을 마련한다.

 

❍ 2030년까지 수소버스 300대, 수소청소차 200대를 보급한다.

- 이를 통해 도내 주요 탄소배출원인 교통 분야의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저감해 나갈 계획이다. 공공 분야의 우선 전환을 통해 수소모빌리티에 대한 도민수용성을 확보하고 전세버스, 물류트럭 등 민간분야 전환에도 행정력을 집중한다.

 

❍ 수소 트램 도입을 통해 도심 교통문제를 완화하면서, 「15분 도시 제주」의 핵심 인프라로 구축·운영해 나간다.

- 1차 산업 분야의 농기계, 선박 등도 수소 기반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한다는 전략이다.

 

❍ LPG는 가정용 수소 연료전지로 대체해 탄소배출을 줄인다. 또한, LNG를 원료로 하는 도내 화력발전소는 수소를 혼소하고 상용화 이후 수소 전소터빈을 도입해 기저 발전시설을 청정 발전소로 전환하는 것이 목표다.

 

❍ 도내 생태계 조성을 넘어 수소항만 조성, 그린수소 수출․입을 통해 국가 수소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그린수소의 글로벌 허브로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수소 산업화·생태계 조성

❍ 그린수소 산업이 제주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잡도록 관련 기업의 유치·육성, 일자리 창출, 전문인력 양성,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마련에 집중할 계획이다.

 

❍ 2030년까지 수소 전문기업 20개를 유치·육성하고, 이와 연계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전략으로 설정했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국가 수소 전담기관과 함께 융복합 특화 교육과정 등을 신설․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제주 수소조례를 제정하고, (가칭)제주 그린수소 활성화 추진위원회를 구성한다. 그린수소의 경제성 확보를 위해 분산에너지 특별구역 지정과 연결해 제주 그린수소 전용 전력요금 신설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그린수소는 에너지 자립, 청정에너지 체계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할 새로운 에너지원이자 제주의 새로운 성장동력”이라며, “2030년 재생에너지 정부 목표인 21.5%를 가장 먼저 달성하고 풍부한 재생에너지를 바탕으로 제주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로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