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콘텐츠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정책과
연구

건축도시분야
정책 및 연구 관련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TOP

국토부, '18년 상반기 전년 동기 대비 지가 및 토지거래량 상승

2018. 07. 24|국토환경디자인부문|연구 및 교육|국토교통부|토지정책과

올 상반기 땅값 2.05% 상승…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

땅값 세종>부산>서울>대구 순으로 많이 올라…거래량은 수도권 중심으로 소폭 늘어


 


1. 지가변동률


【 종합 】


국토교통부는 올해 상반기 전국 땅값이 평균 2.05% 상승하여 전년 동기(1.84%) 대비 0.21%p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기(2.00%) 보다 0.05%p 높으며, 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 변동률(0.92%, 전기 대비) 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이다.


< 연도별 상반기(06~18) >

< 분기별(15.1분기~18.2분기) >


< 연도별 상반기 지가 및 소비자물가변동률 >

(지가지수 : ’16. 12. 1.=100)

구분

10

11

12

13

14

15

16

17

18

전국

(지가지수)

0.99

(90.427)

0.58

(91.010)

0.62

(92.107)

0.57

(92.942)

0.93

(94.329)

1.07

(96.313)

1.25

(98.799)

1.84

(102.064)

2.05

(106.236)

 

수도권

1.13

0.63

0.54

0.51

0.93

1.01

1.12

1.86

2.14

지방

0.72

0.49

0.79

0.70

0.93

1.18

1.48

1.82

1.90

소비자물가*

(전기대비)

1.69

2.53

1.14

0.86

1.01

0.46

0.53

1.41

0.92

* 물가 상승을 감안하여 실질적인 지가 변동 상황 파악을 위해 비교지표로 활용


【 지역별 지가변동률 】


(시도별, %) 17개 시‧도의 땅값이 모두 상승하였으며 세종(3.49),  부산(3.05), 서울(2.38), 대구(2.35), 제주(2.23) 순으로 높게 상승했다.


(수도권, 2.14%) 서울(2.38)은 전국 평균(2.05)에 비해 약간 높은 수준이며, 경기(2.01), 인천(1.47) 지역은 전국 평균(2.05) 보다 낮았다.


(지방, 1.90%) 세종(3.49)이 최고 상승률을 보였으며, 부산, 대구, 제주, 광주 등 5개 시·도는 전국 평균(2.05) 보다 높았다.


< ’18년 상반기 지가변동률(%) >

 


(시군구별, %) 경기 파주시(5.60)를 비롯해 강원 고성군(4.21), 서울 동작구(4.10), 부산 해운대구(4.00), 서울 마포구(3.73)가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울산 동구(-1.23), 전북 군산시(-0.58)는 하락하였고, 경북 포항북구(0.35), 충남 서천군(0.42), 경남 거제시(0.47)는 상대적으로 낮게 상승하였다.


< 18년 상반기 지가변동률 상위 5 현황(%) >

순위

시군구

변동률

주요 변동사유

비고

1

경기 파주시

5.60

남북관계 개선 및 GTX-A 노선 개통 기대감에 따른 투자수요 증가

경기(2.01)

2

강원 고성군

4.21

금강산관광 재개 등 남북교류 기대감으로

제진역 등 접경지역 수요 증가

강원(1.84)

3

서울 동작구

4.10

흑석, 노량진 뉴타운 등 재개발지역 거래 활발 및 서초구 재건축에 따른 이주수요

서울(2.38)

4

부산 해운대구

4.00

LCT,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생태공원 개발 및

해운대 상권 활성화에 따른 투자수요

부산(3.05)

5

서울 마포구

3.73

염리 3구역 등 재개발사업 및

홍대입구역, 망리단길 등 상권 활성화

서울(2.38)


< 18년 상반기 지가변동률 하위 5 현황(%) >

순위

시군구

변동률

주요 변동사유

비고

1

울산 동구

-1.23

조선업 추가 구조조정 진행 등 경기 침체장기화에 따른 수요 감소

울산(1.66)

2

전북 군산시

-0.58

GM군산공단 폐쇄 및 협력업체 부도 여파 등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

전북(1.35)

3

경북 포항북구

0.35

여진 발생에 따른 매수심리 위축 및

공동주택 공급물량 과다 우려

경북(1.42)

4

충남 서천군

0.42

인근 군산시 경기침체 영향에 따른

매수심리 위축 및 인구감소 지속

충남(1.43)

5

경남 거제시

0.47

조선소 구조조정 등 조선업 불황에 따른

인구유출 및 원룸, 상업용 공실률 상승

경남(1.47)


【 용도지역별 ․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 】


(용도지역별, %) 주거(2.25), 계획관리(2.16), 농림(2.08), 상업(1.87), 생산관리(1.76), 녹지(1.75)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 ’18년 상반기 용도지역별 지가변동률(%) >

구 분

도시지역

비도시지역

주거

상업

공업

녹지

보전관리

생산관리

계획관리

농림

자연환경

2017

2.07

1.82

1.22

1.53

1.07

1.33

1.78

1.40

1.12

2018

2.25

1.87

1.28

1.75

1.56

1.76

2.16

2.08

1.42


(이용상황별, %) 주거용(2.19), 상업용(2.05), 전(2.02), 답(2.00), 기타(1.71), 임야(1.51)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 ’18년 상반기 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 >

주거용

상업용

공장용지

임야

기타*

2017

2.03

1.82

1.24

1.69

1.64

1.19

1.22

2018

2.19

2.05

1.36

2.02

2.00

1.51

1.71

* 기타 : 여객자동차터미널, 골프장, 스키장, 염전, 광업용지 등


2. 토지 거래량


【 종합 】


’18년 상반기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166만 필지 (1,091.6㎢, 서울 면적의 약 1.8배)로,


전년 동기 대비 6.9%(+106,497 필지) 증가하였으며, 전기 대비 5.7%(-100,826 필지) 감소하였다.


올해 상반기 거래량*은 ’17년 1월 최초 공급계약의 신고 의무화 이후 분양권 신고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다.

* 거래 원인별(전년 동기 대비) : 매매(△4.6%), 분양권(35.4%), 기타(증여 등, 5.4%)


한편,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56만 6천 필지(1,007.5㎢)로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했다.


< 상반기 전체 토지 및 순수토지 거래량 추이 >

(단위 : 필지 수, 신고·검인물량 포함, 신고일 기준)

구 분

반기별

최근 5(13.17.)

상반기 평균

증감률(%)

18년 상반기

17년 하반기

17년 상반기

’17년 하반기 대비

’17년 상반기 대비

최근 5

상반기 평균 대비

전체토지

1,660,236

1,761,062

1,553,739

1,376,457

5.7

6.9

20.6

순수토지

566,399

576,614

584,093

529,558

1.8

3.0

7.0

* 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 연도별 상반기 전체토지 거래량 >

< 연도별 상반기 순수토지 거래량 >

 지역별 토지 거래량 】


(시도별, %) 전년 동기 대비 토지 거래량은 경기(23.3), 세종(22.7), 인천(22.1), 광주(20.5) 등은 증가하였고, 경남(△19.7), 제주(△14.2) 등은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57.7), 대전(17.6) 순으로 증가하였고, 부산(△20.4), 대구(△18.1), 울산(△17.0) 등은 감소했다.


< 상반기 전체토지 거래량 증감률 >

< 상반기 순수토지 거래량 증감률 >

 

 


【 용도지역 ․ 지목별 토지 거래량 】


(용도지역별, %) 전년 동기 대비 공업(13.5), 상업(8.0), 주거(5.4),   농림(4.5) 순으로 증가하였고, 녹지(△6.4), 자연환경보전(△5.5), 관리(△2.9), 개발제한구역(△0.8)은 감소하였다.


(지목별, %) 전년 동기 대비 공장용지(23.2), 대지(10.8), 임야(3.8)는 증가하였고, 전(△6.5), 답(△2.6), 기타(잡종지 등, △0.3) 순으로 감소하였다.


(건물 용도별, %) 전년 동기 대비 공업용(41.0), 상업업무용(13.9), 주거용(13.5) 순으로 증가하였고, 기타건물(△6.5), 나지(△4.9)는 감소하였다.


한편,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가변동률 및 토지 거래량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토지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지가변동률은「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제19조, 시행령 제17조에 의해 지가 동향 및 거래 상황을 조사하여 토지정책 수행 등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