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콘텐츠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배재대학교 예술관 | 배재대학교 건축대, 미대, 음대

위 치 대전 서구 도마동 439-6
구 분 신축
용 도 교육연구 시설 
대지면적 208,499.2 m2 지상층수 5
건축면적 3,971.3 m2 지하층수 -
건폐율 67.7 % 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연면적 9,958.6 m2 용적율 169.7 %
작품설명 건물의 형태는 대지의 형상을 자연스럽게 반영하고 있다. 수평적으로는 대지의 평면적 형태를 건물에 그대로 적용하였으며, 수직적으로는 캠퍼스 정문으로부터 상승하는 대지의 형상을 따라 건물 내 중앙계단, 램프 등의 동선이 함께 상승한다. 이러한 대지의 레벨은 단지 건물의 형상 뿐 만 아니라 기능과도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건물의 구성은 상승하는 대지를 따라 주차 레벨, 보행자 레벨, 그리고 램프나 브릿지 등을 통해 진입이 가능한 필로티 공간과 그 상부의 주 건물 레벨로 구분되며, 별도의 토목공사 없이 건물이 대지에 조화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필로티 구조로 이루어진 보행자 레벨의 데크는 대지와 보행자의 자연스러운 흐름이 방해받지 않고 ‘쉬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건물 뒤편으로 보이는 산세로의 시선은 차단하지 않는다. 초기에 계획했던 천창이나, 야외수업 등을 위한 옥상공간의 적극적 활용 의도, 그리고 2층 철골데크 돌출부가 예산상의 이유로 실현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건물의 매스는 건축학과, 미술학과 및 음악학과의 기능에 따라 3개로 분리하여 기능상 개별성이 부여되는 동시에 램프나 브릿지 등을 통해 상호 연계성을 유지하도록 계획했다. 데크 공간과 같은 세미 퍼블릭한 성격의 ‘같이 모여서 즐기고 토론할 수 있는‘ 공간은 예술학부 라는 동질성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상의 분리 및 연계를 통한 프로그램 구성은 점차 탈 형식적이고 분야 간의 중복 및 교류가 증대되는 현대의 교육 성향을 반영한 것이다. 주재료는 솔직하고 ’원초적‘인 설계의 방향에 맞추어 노출콘크리트를 사용하고 마감을 최소화하여 설비 및 전기 라인이 노출되도록 계획했다. 대지의 형상을 따라 돌아가는 건물의 외벽 역시 노출콘크리트를 사용하고 그 밀실한 느낌을 유지하기 위해 폭이 좁은 수직 창을 사용하였으며, 중정 쪽 외벽은 커튼월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이는 건물의 기능과도 조화된다. 외벽 쪽으로는 주로 로비나 복도 등의 공용공간이 위치하는데, 약간은 어둡지만 가늘게 찢어진 틈새로 빛이 새로 들어오는 시적인 공간연출을 통해 건물 내에서의 정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대부분 실들이 중정을 향하여 위치하므로 커튼월을 통해 충분한 채광과 환기가 이루어져 쾌적한 수업공간을 형성하며, 어둡고 시적인 공용공간과의 대비를 통해 그 공간들이 가지는 기능성을 높였다.
참고문헌
지도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