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콘텐츠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제주아트빌라스

위 치 제주 서귀포시 색달동 301-1
용 도 숙박시설 
대지면적 83,841.60 m2 지상층수 -
건축면적 16,173.09 m2 지하층수 -
건폐율 19.29 % 구조 철근콘크리트
연면적 19,211.62 m2 용적율 20.66 %
작품설명 Master Plan
자연과 인간 그리고 건축이 어우러져 조화되는 리조트 단지
제주도는 자체의 자연적 아름다움과 고유한 지역적 특색이 있으며, 제주도 자체의 특성에 맞는 형태와 리듬으로 잘 표현되어진 건축예술의 장소로서 고급스럽고 독보적인 리조트를 만들 수 있는 태생적 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자연과 건축, 제주도만의 지역성의 조화가 가져온 리조트는 특별한 Identity와 함께 풍부한 제주도의 자연환경과 하나 되며, 천혜의 자연환경을 충분히 향유하는 휴양형 리조트 단지로 조성된다. 하나의 부지에 모인 건축가들은 본연의 다양성의 발현과 하나의 목적을 위한 리조트 단지로 계획하였습니다.

Block A
제주 대자연으로 그려내 수직과 수평의 별서別墅
한라산과 제주 바다를 잇는 수직적 통경축은 제주 지형을 그대로 담아낸 하나의 작품입니다. 제주도를 신선이 살 만한 곳이라 하여 '영주瀛洲'라고도 부르는데 이곳이야말로 영주별서[휴양지에 지은 집]라 할 만합니다.
제주지형의 특성에 맞게 한라산과 제주 앞바다를 잇는 선이 그대로 디자인 모티브로 차용되었습니다. 수직과 수평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의 형태는 마치 동양화의 기법처럼 단순하고 절제된 형태를 보여줍니다.

Block B
제주를 닮은 곡선으로 재창조한 풍경
건물이 아닌 풍경의 재창조-이것이 바로 아트빌라스에 블어넣은 디자인의 생명력입니다. 제주의 풍경을 완성하는 논과 밭, 해안선, 폭포, 주상절리 등은 '프레시 버블[Fresh Bubbles]'을 이루는 요소입니다.
내부에서도 자연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중정, 선큰, 테라스를 디자인하였고 원형과 곡선의 패턴을 살려 이국적이면서도 유니크한 디자인을 제안합니다.

Blcok C
바람이 드나드는 기공으로 소통하는 집
높이가 다른 두 마당을 통해 공간이 연결되고 자연과 소통하는 교감의 집.
자연의 변화를 시계 삼아 사는, 해와 달 그리고 바람과 숲이 통하는 집
일월풍림日月風林의 집이라 할수 있습니다.
중정, 선큰가든 등 천혜의 제주 자연환경이 집안으로 성큼 들어온 듯한 공간연출이 특징입니다. 안락하면서 시원한 조망이 선사하는 개방감을 통시에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공간입니다.

Block D
강인하면서도 유연한 제주 오름을 닮은 집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유니크한 아름다움.
제주 자연의 강인하면서도 유연한 아름다움이 둥근 지붕 안에 오롯이 담겨있습니다.
주변 풍경과 조화되는 유기적인 건축은 자연스럽게 어울리면서도 생명을 머금은 듯한 인상을 연출합니다. 하나의 출입구를 가진 쿨테삭(cul-de-sac)형 구조와 아름다운 주상절리 패턴을 적절하게 조화시킨 블록입니다.

Block E
조각보로 맞물린 사계절 풍경의 캔버스
땅이 품은 모양과 특징을 그대로 살려 빌라의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에 표현했습니다. 마치조각보처럼 사각의 패턴이 모여있는 형상은 하나의 또 다른 공간을 창조하여 풍경을 담는 화폭이 되어줍니다.
한라산의 경관과 한국의 조각보 패턴을 적용하여 블록을 완성하였으며 높낮이가 다른 빌라를 조합하여 스카이라인에 리듬감을 더했습니다. 입체감이 다른 조각천을 리듬 있게 올록볼록 이어 붙인 듯한 연속적이면서도 다이내믹한 율동감을 주는 블록입니다.

Block Community Center
커뮤니티센터
커뮤니티 센터를 통해 자연과 사람과 즐거움이 새롭게 창조되고, 하나로 소통합니다.
수영장, 피트니스센터, 멤버스 라운지, 레스토랑, 편의시설 등이 입점하고 숨쉬는 산책로로 소통하는 특별한 공간입니다. 리조트 안의 또 다른 휴양의 스타일을 제안하는 특별한 공간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심사평]
콘도니미엄 운영 방식의 빌라촌이다. 마을은 주변 구릉지 풍경ㆍ지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고, 건물은 5명의 세계적 건축가의 개성과 역량으로 높은 수준의 내ㆍ외부 공간이 구축되어 있다. 제주도에서 얻어지는 자연재료와 노출콘크리트를 주로 사용했다. 때문에 마을 건축물의 색체 또한 매우 절제돼 있고 차분하다.
지도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