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콘텐츠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박학재

위 치 경기 용인시 수지구 성북동 393-21
용 도 단독주택 
대지면적 478.00 m2 지상층수 2
건축면적 92.90 m2 지하층수 1
건폐율 19.43 %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연면적 410.26 m2 용적율 35.38 %
작품설명 개인주택을 설계할 때마다 항상 느끼지만 주택은 참으로 어렵고 또한 즐거운 작업이다. 하나의 공간에서 의식주의 기본적인 행위가 전부 일어나며 가족의 삶이 그대로 묻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건축보다도 현실적인 문제를 다루게 된다. 또한 개성이 강한 건축주의 요구를 충족하며 건축가의 의도를 살리기가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필자의 경우 단독주택의 개념은 항상 건축주로부터 시작된다. 주택은 개인이 생활하는 공간이며 건축주의 삶과 특성을 가장 유니크(Unique)하게 표현할 수 있는 곳이다. 건축주는 대학교수 부부로서 학교와 집에서 많은 연구활동을 하며 수년 전부터 단독주택을 지어 생활하는 것을 꿈꾸어 왔던 분들이다. 부부는 바쁜 연구활동 중에도 자주 사람들을 집에 초대하여 식사를 같이 하므로 넓은 식당을 원하였고, 집에서 연구활동을 위한 업무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건축주를 그 전부터 알고 지내었지만 이 설계작업을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게 되었고, 항상 수수하고 소박(蔬薄)하게 지내는 부부의 삶과 학습(學習)하는 공간이 중심이 되는 집을 설계 개념으로 하였다. 대지는 용인에 위치한 단독주택단지 필지로서 한 건설회사가 대지와 단지도로를 완성하고 옹벽,차고 등을 건축하여 분양한 필지이다. 남측은 건너편 산으로 시야가 시원하게 열려있으나, 북,동,서측은 인접필지로 인하여 시야가 갇혀 있다. 건폐율이 제한되어 있고 대지의 형상이 불규칙하여 한 층에 많은 면적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집의 중심이 되는 서재가 지하로 위치하게 되었다. 자연스럽게 외부에서 지하로 접근하는 통로가 필요하였고, 이에 기존 옹벽을 일부 철거하고 새로운 대문을 지하층에 만들게 되었다. 이는 차고에서 집으로 들어오는 통로와 연계되며 정원으로 올라가는 계단과도 연결된다. 지상보다 지하에 지내는 시간이 더 많을 것을 예상하여 드라이 에어리어를 넓게 하고 중정을 지하로 내려 지하에서 생활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하였다. 1층은 전통적인 의미의 거실과 식당, 주방이 위치한다. 그리고 기존에 설정되었던 대문과 현관 지상주차장이 위치하며 중정과 남측으로의 풍경을 다양하게 감상하도록 계단을 중정에 면하게 배치하였다. 2층은 안방과 화장실,드레스룸,다락방이 있다. 박학재가 속한 단지는 몇 가지 느슨한 규약을 따르도록 되었다. 그 중 하나가 경사지붕으로 디자인하는 조건이다. 안방이 위치한 2층은 더위와 추위에 약하므로 경사지붕과 천장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단열완충작용을 의도하였다. 중정에 의하여 두개로 나누어진 매스는 층고에 의하여 각가 다른 크기를 가지고 있어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그리고 2층부분에 징크를 사용하여 단열을 강화하면서 재료도 자연스럽게 결정되었다. 가장 높은 안방부분의 매스와 다락과 거실이 있는 중간높이의 매스, 그리고 천장이 있는 현관은 가장 낮은 매스를 이루고 있다. 지하층으로 인하여 땅과 만나는 부분은 전부 노출콘크리트를 사용하였고 내부는 타일과 징크 등을 사용하였다. 재료를 선택할 때에도 박학재의 개념과 일치하도록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아카데믹한 물성을 지닌 재료를 택하도록 하였고, 매스의 구성도 꾸밈과 장식을 최대한 배제하고 단순한 형태가 되도록 의도하였다.

■ 건축가 인터뷰(2012.08.14)

[설계의도]
건축주는 대학교수 부부로서, 항상 수수하고 소박(蔬薄)하게 지내는 부부의 삶과 학습(學習)하는 공간이 중심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대지는 용인에 위치한 단독주택단지 필지로서 한 건설회사가 대지와 단지도로를 완성하고 옹벽, 차고 등을 건축하여 분양한 필지이다. 남측은 건너편 산으로 시야가 시원하게 열려있으나 북, 동, 서측은 인접필지로 인하여 시야가 갇혀있다. 건폐율이 제한되어 있고 대지의 형상이 불규칙하여 한 층에 많은 면적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집의 중심이 되는 서재가 지하에 위치하게 되었다. 자연스럽게 외부에서 지하로 접근하는 통로가 필요하였고, 이에 기존 옹벽을 일부 철거하고 새로운 대문을 지하층에 만들게 되었다. 이는 차고에서 집으로 들어오는 통로와 연계되며 정원으로 올라가는 계단과도 연결된다. 건축주가 지상보다 지하에 지내는 시간이 더 많을 것을 예상하여 드라이 에어리어를 넓게 하고 중정을 지하로 내려 지하에서 생활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하였다. 1층에는 중정과 남측으로의 풍경을 다양하게 감상하도록 계단을 중정에 면하게 배치하였다.
박학재가 속한 단지는 경사지붕으로 디자인해야하는 규약이 존재했다. 안방이 위치한 2층은 더위와 추위에 약하므로 경사지붕과 천장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단열 완충작용을 의도하였다. 중정에 의하여 두개로 나누어진 매스는 층고에 의하여 각각 다른 크기를 가지고 있어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그리고 2층 부분에 징크를 사용하여 단열을 강화하면서 재료도 자연스럽게 결정되었다.
박학재는 가장 높은 안방부분의 매스와 다락과 거실이 있는 중간높이의 매스, 그리고 천창이 있는 현관은 가장 낮은 매스를 이루고 있다. 지하층으로 인하여 땅과 만나는 부분은 전부 노출콘크리트를 사용하였고 내부는 타일과 징크 등을 사용하였다. 재료를 선택할 때에도 박학재의 개념과 일치하도록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아카데믹한 물성을 지닌 재료를 택하도록 하였고, 매스의 구성도 꾸밈과 장식을 최대한 배제하고 단순한 형태가 되도록 의도하였다.

[작품배경]
학교와 집에서 많은 연구 활동을 하며 수년 전부터 단독주택을 지어 생활하는 것을 꿈꾸어 왔던 대학교수 부부를 위해 건립되었다.
지도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