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아동복지관, 평생학습관, 마을회관, 청소년센터 등 지원대상 용도 확대, 지역의 대표 우수사례 6동은 시그니처 사업으로 추진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건물분야 온실가스 감축을 올해 공공건축물261동에 대해 그린리모델링을 지원한다.
’20년부터 시작한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은 노후된 기존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개선*하여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희망 건축물 조사를 거쳐 최종 지원대상을 선정하고 있다.
단열성능 보강 및 고성능 창호설치, 고효율 냉난방 설비 교체, 신재생 설비 보급 등
국토교통부는 매년 공공기관 및 지자체로부터 그린리모델링을 희망하는 건축물을 조사한다. 현장 조사 후 해당 결과보고서를 공공기관 및 지자체에 제공하면, 공공기관 및 지자체에서는 결과보고서를 토대로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공모 접수한다.
국토교통부는 에너지절감 요소 및 그린리모델링 추진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최종 지원대상을 선정한다.
’24년까지 그린리모델링에 소요되는 총 공사비를 지역별로 매칭*하여 어린이집(1,255동), 보건소(1,330동), 의료시설(131동), 도서관(38동) 및 경로당(716동) 등 총 3,470동을 지원했다.
(서울, 중앙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국비 50%, (지자체, 서울 외) 국비 70% 지원
올해에는 그린리모델링의 저변확산를 위해 에너지 소비가 많은 건축물*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지원대상 용도를 확대하여 대상을 선정했다.
(기존) 경로당, 보건소, 의료시설 + (추가확대) 기타노유자시설, 기타교육시설, 기타공공시설 등
공모기간(4.14~5.2) 중 접수된 796동 중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총 261동을 최종 지원대상으로 선정했다.
권역별(지자체, 중앙행정기관 포함)로 수도권 42동(16.1%), 비수도권 219동(83.9%)이며,
용도별로는 경로당(187동, 71.6%)에 이어 보건소(37동), 도서관(12동), 노인·장애인·아동복지관 등의 기타노유자시설(15동), 평생학습관이나 여성회관 등의 기타교육시설(2동), 마을회관 등의 기타공공시설(5동), 청소년센터, 사회복지회관 등의 기타시설(3동)이다.
특히, 신청 공공기관 및 지자체에서 높은 에너지절감 효과, 혁신기술 도입 등을 바탕으로, 지역의 대표 우수사례로써 추진하고자 신청한 6동은 시그니처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지역확산을 견인하고, 효과가 우수한 선진기술 등을 도입하여 지역 내 그린리모델링의 대표사례가 되도록 일반 지원대상 대비 최대 2배까지 지원
국토교통부 홍성준 녹색건축과장은 “그린리모델링은 건물분야의 에너지성능을 개선하고, 탄소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기존건축물 온실가스 감축의 주요 수단”이라면서,
“이 사업이 건물부문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이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기반 산업계의 역량을 높여 그린리모델링이 민간부문까지 자발적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그린모델링창조센터(http://www.greenremodeling.or.kr)를 통해 상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