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안부 빈집 정비사업, 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8월부터 본격 추진
- 올해 50억원 투입해 871호의 빈집 철거, 정주 여건 개선 등 지역 활성화 견인
인구소멸 지역으로 지정된 ㄱ군에 사는 B씨는 “빈집으로 방치된 옆
집이 노후화되어 폭우 등으로 붕괴될 우려가 있는 데다, 폐가전제품
등 쓰레기 무단 투기로 지역 경관을 훼손하고 있다”며 군청에 시급한 대
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번 ㄱ군에서 행안부와 함께 방치된 빈집을 철거하고 그 자리를 주민
쉼터로 바꾸게 되면서, 쓰레기가 쌓이며 나던 냄새도 없어지고 안심하고
주변을 다닐 수 있게 되었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저출생・고령화, 수도권 집중화 등으로 증가하고
있는 빈집 문제에 실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오는 8월부터 빈집 정비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현재 전국의 빈집은 13만 2천 호*가 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빈집
소유주들은 복잡한 소유관계나 개인사정** 등에 의해 자발적인 정비가
곤란하여 대부분 빈집을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22년 빈집 현황(국토부·농림부·해수부 자료) : 132,052호(도시 42,356호, 농어촌 89,696호)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조사(’20년)에 따르면 은퇴 후 거처로 활용 예정(44%), 헐고 싶으나
하지 못함(20%), 매매‧임대를 원하나 수요가 없어 빈집을 방치(12%) 한다고 응답
빈집을 정비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범죄‧안전 등의 문제로 주변 주민
불안이 가중되고, 생활 여건이 열악해져 인근 주민이 떠나가게 되며, 이는 빈집 확산과 지역 전체의 침체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특히, 13만 2천 호 중 절반에 가까운 6만 1천 호가 인구감소 지역에
방치되고 있어, 빈집의 존재가 인구감소를 가속화하는 원인으로 작용해
급속한 빈집의 증가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하여 활용이 어려워 방치된 빈집을
정비하고자 정부 예산 50억 원을 투입해 지방자치단체의 빈집 정비를
본격 추진한다.
이를 위해 지난 상반기에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시행
하여 79개 시·군·구의 총 1천 551호의 빈집 소유자가 정비를 동의했으며, 이 중 인구감소 및 관심 지역, 재정 자립도가 낮은 지방자치단체 등을 중심으로
47개 시군구의 총 871호의 빈집을 철거 대상으로 선정했다. ※ 빈집 정비를 신청한 지자체 중 철거 시행에 예산 지원 (농어촌 5백만 원, 도시 1천만 원 지원)
이번 사업에 참여한 지방자치단체 ㄱ군은 “빈집 문제가 심각하지만, 지방
자치단체 재원만으로 정비사업을 추진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방치되던 빈집들이 정비되면 주변 거주 환경이 개선되어
주민의 주거 만족도뿐만 아니라 지역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의 만족도도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빈집 철거시 재산세 부담이 증가하지 않도록 「지방
세법 시행령」을 개정(’24.1.1. 시행)한 바 있다.
이는 빈 토지를 보유했을 때 재산세가 주택 보유에 따른 재산세보다 높다는
이유로 빈집 정비를 주저하는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빈집 철거시 납부해야 할 재산세를 토지 보유 기준이 아닌 철거 전 주택
보유에 따른 재산세액 수준으로 내도록 하는 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확대
하는 내용 등을 포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