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명 |
(부산) 연제구 국공립 어린이집·가족센터 생활SOC 복합화사업 |
개 요 |
기존 시설(어린이집, 가족센터) 노후화에 따른 주변지역 내 폐가 주택부지를 활용하여 국공립어린이집과 가족센터를 복합화하는 사업 |
위 치 |
연제구 연산4동 643-4번지 외 3필지(643-18, 643-19, 643-20) |
생활SOC 도입시설 |
국공립어린이집 가족센터 |
사업예산 (억원) |
총사업비 : 80.8억 원 (국비 13.9, 시비 6.3, 구비 60.6) |
특징 |
폐가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사업계획 수립 |
? 지역 수요에 부합할 수 있는 입지 적정성과 접근성이 매우 우수한 위치
? 부구청장을 중심으로 하는 건립추진단(기획분과, 설계분과, 운영분과)의 심층 검토 계획으로 거버넌스계획 우수
? 사업 기획단계부터 운영단계까지의 주민참여계획이 충실히 제시
? 시설운영계획이 구체적이고 실현가능성이 높아 내실 있는 운영 기대 |
위치도 및 사진 |
 |
 |
사업명 |
(경기도) 양주시 회천지구 공공임대주택 생활SOC 복합화사업 |
개 요 |
공공임대주택 부지를 활용하여 국공립이린이집, 다함께돌봄센터 등 생활SOC시설 건립을 통해 육아·아동 등 돌봄시설을 조성하는 사업 |
위 치 |
양주시 덕계동 338번지 일원(회천지구 공공임대주택 A-25블록) |
생활SOC 도입시설 |
국공립어린이집다함께돌봄센터, 공동육아나눔터 |
사업예산 (억원) |
총사업비 : 0.7억 원 (국비 0.5, 도비 0.1, 시비 0.1) |
특징 |
주민 수요가 높은 복합화시설을 공공임대주택과 연계하여 확충 |
? 택지개발지역으로 입지 적정성과 지역주민 접근성이 매우 우수한 위치
? 아파트 입주민회, 주민자취위원회 등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500명)와 표적집단면접(FGI, 총 6회, 46명 참석)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내실있는 복합화 사업계획 수립
? 생활SOC복합화 총괄 및 전담부서를 선정하여 LH,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등의 지원주체와 주민참여단과의 적극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거버넌스 및 운영계획 우수 |
위치도 및 사진 |
 |
 |
사업명 |
(경기도) 용인시 동부지역 여성회관 생활SOC 복합화사업 |
개 요 |
공공서비스 수요 및 지역주민 특성(여성, 다문화가정, 장애인 등)을 고려하여 자체사업과 가족센터 등 생활SOC 시설을 연계 조성하는 사업 |
위 치 |
용인시 처인구 마평동 573-28번지 일원 |
생활SOC 도입시설 |
가족센터, 국공립어린이집 다함께돌봄센터 |
사업예산 (억원) |
총사업비 : 448.3억 원 (국비26.3, 도비3.7, 시비418.3) |
특징 |
지자체 자체사업과 생활SOC 사업을 연계하여 복합화 효과 극대화 |
? 여성능력개발센터, 여성창업플랫폼, 장애인가족지원센터 등 자체사업과 연계하여 여성능력개발, 아동, 장애인, 다문화 지원 등 지역사회 구성원 누구나 편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 및 공간구성
? 다양한 주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여 사업계획을 반영하고, 여성가족과를 중심으로 하는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구성하는 등 내실 있는 추진체계 및 운영계획을 제시 |
위치도 및 사진 |
 |
 |